DSpace@INU-LIS: Recent submissions

  • 장, 경룡 (아시아문화학술원, 2015)
    이 연구는 장기갈등이론의 효용성을 살피는 것이다. 북한이 2010년 행한 연평도 포격을 사례로 연구한다. 국가이익과 국가정체성 모두 장기갈등의 원인이 된다는 사항과 장기갈등의 지속에는 3가지 중요한 변수가 작용된다는 사항이 논문의 주장이다. 3가지 변수는 상대방에 대한 정책결정자들의 인식, 장기갈등에 참여하는 모든 국가들의 제도화된 의지, 그리고 편견이 작용되는 정책결정이다. 이 논문의 결론은 ...
  • 전, 신욱 (한국보훈학회, 2011)
    지난 2010년 3월 26일 오후 9시 22분경에 서해 백령도 부근에서 우리 해군의 천안함 침몰사태가 발생하였다. 이후 충격이 가라 않기도 전인 11월 23일에는 연평도 민간인 거주지에 포격을 가하는 전쟁에 준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이 사건들은 우리 국민은 물론, 세계인들을 모두 경악하게 만든 사건이었다. 그리고 북한의 극악무도한 군사적 도발이라는 것에 국민 절대 다수가 분노하는 사건이었다. ...
  • 주, 리애; 김, 현진 (한국미술치료학회, 2014)
    본 연구의 목적은 2010년 11월 23일 연평도 포격사건이 벌어진 이후 연평도 청소년의 심리상태를 그림검사 를 통해 평가하고자 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연평도에 거주하면서 포탄의 피격을 직간접적으로 경험한 중고등학 생 26명이다. 연구도구는 인물화 검사, 이야기 그림검사와 한국판 상태불안척도이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 상 관분석과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
  • 변, 영균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현대 사회의 복잡성과 예측불가능성은 국가에 빈번한 위기를 가져다 준다. 위기는 조직의 물질적 손실, 이미지나 명성 등 정신적 손실, 그리고 공중과의 관계 악화 등 조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사건이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위기를 제대로 극복하지 못할 경우 정부는 자칫 국민들의 신뢰를 잃어버릴 수 있다. 따라서 국가와 정부는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하기 위해 적극적인 위기관리 PR활동을 펼쳐 ...
  • 배, 봉원 (경남대학교 대학원, 2019)
    북한의 군사적 도발 행태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국가차원의 정치·경제·외교·군사 등 제반 원인을 규명할 뿐만 아니라 군사적 차원의 군사예술을 망라하는 보다 종합적인 전략적 접근이 요구된다. 군사적 도발은 우발적 충돌을 제외하고는 실제 군사적 행동이 이루어지기까지 신중한 전략적 사고 및 기획과정을 거치게 된다. 전략은 국가의 군사적 목표에 그 수단과 방법을 결합하는 종합적인 사고체계이기 때문이다. ...
  • 성, 하윤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김정일 정권시기 북한이 왜 대남 군사도발을 감행하는가?’에 대한 답을 구하는 것이 본연구의 목적이다. 이에 대한 본 연구의 핵심주장은 북한이 국제체제수준의 변수인 ‘위협의 수준’을 높다고 인식하고, 국내 정치수준의 변수인 ‘정권의 취약성’이 높을 때, 대남 군사 도발을 전략으로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본고에서 제시한 핵심 주장을 검증하기 위해 2010년 발생한 연평도포격사례와 ...
  • 신, 섬미 (울산매일, 2021-10-07)
    제주도를 대표하는 캐릭터 상품이 많아지면서 공식 마스코트인 돌이와 소리의 인지도가 떨어진다.
  • 이, 영순 (데일리팝, 2021-07-12)
    (재)화성시문화재단(대표이사 이종원)은 ‘코리요 x 신비아파트’의 콜라보레이션 프로젝트를 진행해 화성시를 홍보한다고 밝혔다. 해당 프로젝트는 화성시의 대표 관광지를 무대로 7월 실사영상 제작에 들어간다.
  • 최, 오현 (강원도민일보, 2021-08-09)
    강원도 대표 마스코트인 '범이&곰이'가 캐릭터 스타 선발 대회에 참가해 캐릭터 대상 자리를 노린다.
  • 김, 명기 (대한적십자사 인도법연구소, 2013)
    2010년 11월 23일 NLL 남측 해역에서 실시된 한미연합군의 합동군사훈련이 끝나자마자 북한군이 연평도를 포격했다. 그 결과 한국 해병대 군인 2명이 사망하고 16명이 부상했으며, 민간인 2명이 사망하고 16명이 부상을 입었다. 그리고 연평도성당이 파손되었다. 이 연구는 북한군의 포격이 한편으로 정전법(ius ad bellum) 을 위반하고, 다른 한편으로 전쟁법(ius in bello)을 ...
  • 박, 상연 (중부매일, 2001-02-15)
    원화랑과 원낭자의 상품 개발 관련 기사이다.
  • 단양 (단양군, 2000-01)
    충북 단양군의 마스코트 온달과 평강의 이미지이다.
  • 이, 상복 (충청투데이, 2015-12-15)
    충북 도민체전 마스코트에 단양군 마스코트가 사용된 기사이다.
  • 최, 영무 (뉴스로, 2018-12-18)
    애국소녀 나랑이가 마스코트로 선정되었다는 내용의 기사이다.
  • 천안 (천안시, 2021-12-03)
    애국소녀 나랑이의 이미지이다.
  • 박, 창규 (천안시 모바일, 2019-03)
    천안시 마스코트 애국소녀 나랑이의 기원과 의미를 소개한 기사이다.
  • 문, 석준 (네이트 뉴스, 2021-06-26)
    금이와 관이를 주인공으로 한 인스타 툰이 게재되기 시작했다.
  • 경주 (경주시, 2016)
    금이 관이의 이미지이다.
  • 김, 성웅 (경북일보, 2006-03-20)
    경주의 마스코트 금이와 관이 조형이 처음 선보인다는 내용의 기사이다.
  • 김, 진엽 (전민일보, 2020-09-07)
    정읍시의 시목(市木)인 단풍나무의 잎을 캐릭터화한 ‘단이와 풍이’가 전국 캐릭터 대상 선발대회인 제3회 우리동네 캐림픽에 도전장을 던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