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pace@INU-LIS: Recent submissions

  • 하, 현종; 이, 아리따; 이, 정진; 오, 채영; 조, 은정; 김, 성희 (스브스뉴스, 2021-02-08)
    *인터뷰에 표기된 사회적기업을 예비사회적기업으로 정정합니다. 파란색과 보라색이 동시에 나오는 마법같은 크레파스! 누구나 한 번쯤 사 본 경험이 있지만, 끝까지 사용한 적은 '거의 드물다'고 할 수 있는데요. 이렇게 집에서 하나 둘 쌓여가는 크레파스를 모아 '리크레용'으로 재탄생시킨 곳이 있다고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영상으로 확인하세요.
  • 조, 용호; 박, 현지; 이, 지혜; 김, 달 (크랩 KLAB, 2020-10-24)
    일반적인 플라스틱 칫솔은 재활용이 안 된다는 거 알고 계신가요? 플라스틱뿐만 아니라 고무, 나일론 등 여러 재질이 섞여 있어 재활용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결국, 그런 칫솔은 일반 쓰레기로 분류돼 매립되거나 소각될 수밖에 없는데요. 최근 플라스틱 쓰레기를 줄이고 지구 환경을 지키자는 제로 웨이스트 운동에 힘입어 친환경 칫솔을 위한 여러 시도가 나오고 있습니다. 그중 가장 좋은 대안으로 ...
  • 유, 현우; 홍, 유경; 이, 근혁 (크랩 KLAB, 2020-12-29)
    최근 급증한 플라스틱 쓰레기의 원인 중 하나는 배달음식입니다. 많아진 만큼 일회용 플라스틱 수저와 포크 사용도 늘었는데요. 플라스틱 용기는 잘 씻어서 분리 배출하면 재활용되나, 일회용 수저와 포크는 재질도 다르고 선별이 어려워 대부분 소각되거나 매립됐습니다. '플라스틱 줄이기 운동'이 확산되며 배달 앱에서도 일회용 수저와 포크를 쓰지 않도록 권하고 있지만, 막상 집이 아닌 곳에서 ...
  • 김, 미정; 유, 현우; 이, 승표; 이, 근혁; 이, 효정; 구, 민지; 안, 지민 (크랩 KLAB, 2020-11-08)
    한 해 250억 켤레가 생산되고, 버려지는 신발. 신발에 사용되는 합성섬유나 합성고무는 석유에서 추출되기 때문에 제조 중 많은 온실가스와 유해물질을 발생시킵니다. 기후환경변화연구소에서 2012년 낸 자료에 따르면 신발 한 켤레가 만드는 이산화탄소는 약 13.6kg으로 250억 켤레를 환산하면 약 3.4톤(t)에 이릅니다. 석탄발전소 100개가 1년 동안 내뿜는 이산화탄소량과 비슷하죠. 그래서 ...
  • 편, 광현 (중앙일보, 2022-04-24)
    현재 환경적으로 가장 완벽한 빨대는 식물성 생분해 빨대다. PLA와 달리 온전히 식물성 소재로만 만들어졌다. 이 중 가장 많이 팔리는 쌀·밀 빨대는 사용 후 바로 씹어먹거나 떡볶이 등으로 요리해 먹을 수도 있다. 시중엔 보리나 갈대 등 다양한 식물로 만든 빨대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 빨대에서 식물 맛이 나고, 쉽게 부러지는 단점이 있어 대중화 단계로 접어들진 ...
  •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Dictionary, 2022-05-29)
    zero-waste adjective (also zero waste) UK/ˌzɪə.rəʊˈweɪst/ US/ˌzɪr.oʊˈweɪst/ not producing any waste material: * A new zero-waste supermarket has opened, selling food and household products without packaging. * I ...
  • 이, 창준 (헤드라인 제주, 2021-11-04)
    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은 사단법인 한국생활개선제주특별자치도연합회(회장 강미회)와 함께 '생활쓰레기 줄이기, 천연수세미 사용 캠페인'을 전개한다고 4일 밝혔다.
  • 서, 종철 (한국지역지리학회, 2013-05)
    본 연구에서는 지정학적인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자연환경적인 측면에서도 중요성을 가지는 연평도에 대해 해안지형을 중심으로 지형과 경관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평도는 접근성이 제한되어 있고 군사적인 위험 때문에 자연 환경은 잘 보존되어 있지만 기존의 연구 성과는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4일간의 현지 답사와 실내 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한 것이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20개 주요 조사 ...
  • 한, 은선 (한국무속학회, 2013-08)
    연평도는 1970년대 초반까지 조기잡이로 유명했던 곳이다. 하지만 어로저지선 남하와 선박의 대형화로 월동장에서 조기를 남획하게 되면서 연평근해의 조기잡이는 중단되었다. 마을굿의 경제적 기반이었던 조기잡이가 중단되자 마을굿 역시 약화되었다. 연평 근해에서는 1970년대 후반부터 조기잡이의 대안으로 꽃게잡이가 이루어졌으며, 2008년 꽃게의 풍어로 인해 중단되었던 마을굿이 다시 연행되었다. 본 ...
  • 염, 돈일; 김, 영욱; 조, 미혜 (인하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2007-12)
    본 연구의 목적은 인천광역시의 도서벽지에 거주하고 있는 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을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연평도에 거주하고 있는 초, 중, 고등학생 총 1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신체적 자기개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한국판 신체적 자기개념 척도(김병준, 2001)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성별, 연령대에 따른 차이는 독립표본 t-test를 운동관심도, 참여빈도, 참여시간에 ...
  • 최, 창현 (한국외국어대학교 대만연구센터, 2019-06)
    The fate of the divided nations is to constantly live in the stare of tension. Just in case the divided countries are given the chance to be reunified, to what extent each regime can deal with the opportunity? It is a ...
  • 이, 정우 (북한대학원대학교, 2014-08)
    이 글은 남북한의 경제력 격차가 43배에 이르고 1978년 이래 남한의 국방비 지출액이 북한을 연속적으로 초과하여 현재 약 3배에 이르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상대적 군사력 우위’라는 주장이 나오는 것에 대한 비판적 고찰이다. 상대국의 군사력과 군사위협에 대한 정밀한 평가가 부재하면 이를 방어하기 위한 적절한 대응과 안보정책의 수립이 왜곡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북한의 ...
  • 박, 재완 (한국군사문제연구원, 2019-06)
    본 논문은 북한의 전자기파(EMP) 위협을 분석하고 한국의 EMP 방호를 위한 대응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작성하였다. 핵무기에 의한 EMP는 단 한 발로도 광대한 지역에 심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전기 · 전자 · 통신 등 군사부분의 지휘 · 통제 · 통신(C4I) 시설과 장비뿐만 아니라 전력 · 통신 · 교통 등 국가 기반시설을 포함하여 사회 전부분이 EMP 공격으로부터 영향을 받을 ...
  • 김, 태효; 황, 인엽 (한국동북아학회, 2019-09)
    이 글은 한반도 안보의 상당 부분이 테러리즘의 관점에서 조명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즉, 21세기의 테러리즘이 대량파괴무기(WMD)와 사이버 위협에 중점을 둔 ‘뉴테러리즘(new terrorism)’의 시대로 진화하고 있음을 규명하고, 이러한 국제적 추세가 북한의 대남 테러리즘 변화 양태에도 똑같이 나타나고 있음을 검증하고자 한다. 단순히 북한의 대남 군사도발로 규정돼 온 3천여 건의 도발 사례를 ...
  • 박, 휘락 (한국통일전략학회, 2019-12)
    본 논문은 핵무기를 보유한 북한이 남한에 대한 공산화 통일을 위하여 채택 가능한 방안을 분석하면서 그에 대한 대비책을 제안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이를 위하여 북한의 군사전략과 핵전략을 분석하였고, 북한의 핵 및 재래식 능력을 남북한의 비교를 통하여 평가한 후 도발의 가능성을 판단하였다. 그리고 나서 현 상황에서 북한이 채택 가능한 도발형태를 제시하였다. 분석의 결과, 북한은 ①핵실험이나 ...
  • 성, 기은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21-07)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의 유형별 대남도발에 영향을 주는 북한 외부의 요인과 내부의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북한의 대남도발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먼저 실증적 분석을 위한 조작적 정의에 한계가 있으며, 사례 중심의 질적 접근방법으로 인해 주장을 일반화하는 데 한계가 있다. 기존 연구에 나타난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분쟁 연구에서 많이 활용되는 국가 ...
  • 조셉, 레녹스 (서울대학교 대학원 :, 2015)
    The Yeonpyeong Incident was an artillery engagement between the North Korean military and South Korean forces stationed on Yeonpyeong Island. After the dispute, North Korea claimed that the strike was in reaction to South ...
  • 문, 정숙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사건개요 2010. 11. 23 14:30분경 북한에 의해 인천군 옹진군 연평도가 포격을 맞았다. 170여발을 퍼부어 해병대 장병 2명과 해병대 관사 신축공사 현장에서 일하던 민간인2명이 참변을 당했다. 마을과 군부대 곳곳에서 불길이 치솟고 산불이 발생하는 등 조용했던 섬마을은 순식간에 아수라장으로 변해 주민 대부분은 섬을 탈출해야만했다. 북한은 해가 바뀌었어도 여전히 도발에 대해 ...
  • 김, 관호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14)
    2010년 3월 26일 백령도 인근에서 발발한 천안함 폭침사건은 남남갈등을 유발시키며 심각한 국론분열 현상을 보여 주었다. 그리고 그러한 국론분열의 양상은 보수, 진보성향을 대표하는 국내 주요일간지인 『경향신문』, 『동아일보』, 『조선일보』, 『한겨레』사설논조에서 극명하게 확인 되었다. 천안함 폭침의 전반적인 사실을 우리 국민들이 명확히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신문사설은 천안함 사건의 현실을 ...
  • 문, 규석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Law Research Institute Center for International Area Studie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2011)
    There was an accident sinking of the Republic of Korea(ROK) Navy Ship called Cheonan(PCC-772, 1,200ton corvette) on 26 March 2010 in the territorial waters of the ROK 2.5km off the south-western coast of Baekryong Islan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