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pace@INU-LIS: Recent submissions

  • Unknown author (1894)
  • 홍시욱 
    Unknown author (1929)
  • 손원일 
    Unknown author (1909)
  • 조봉암 
    Unknown author (1899)
  • Unknown author (1880)
  • 임병래 
    Unknown author (1922)
  • 강, 성률 (한국영화학회, 2020., 2020)
    This paper purposes to compare and contrast films depicting the Incheon Landing Operation, which is the most important event in the Korean War. I intend to study how a film reflects the times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
  • 김, 대성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18., 2018-03)
    In the present study, we derived the success factors of the Operation Chromite through the military strategic analysis focusing on the maneuver and attrition strategies. The maneuver strategy is to neutralize the military ...
  • 조, 성훈 (한국학중앙연구원, 2006., 2006-09)
    본고는 최근 한국사회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인천상륙작전과 맥아더에 관한 비판적인 입장을 검토하여 이 작전을 전후한 맥아더의 역할에 대해 재평가를 시도했다. 비판론자들은 전쟁 중 그의 역할에 대해 태평양전쟁과 한반도 분단, 전후 일본에서 정책, 6ㆍ25전쟁에서 양민학살, 원폭사용 요청 등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맥아더 동상이 인천에 세워진 것은 다른 이유가 아닌 바로 인천상륙작전의 ...
  • Unknown author (한국보훈학회, 2010., 2010-12)
    인천상륙작전으로 인천해안교두보를 확보한 미국 해병대 제1사단은 9월 16일부터 한강으로 진격을 개시하였다. 9월 18일부터 후속부대인 미국 육군 제7사단과 한국 육군 제17연대가 상륙하여 서울 수복과 적의 퇴로를 차단하기 위한 작전에 돌입하였고, 9월 27일 한국 해병대가 중앙청에 태극기를 게양한 후 소탕전을 전개하여 9월 28일 수도 서울은 90일 만에 수복되었고, 인천상륙작전은 한반도의 ...
  • 김, 광수 (육군군사연구소, 2010., 2010-12)
    한국전쟁 중 맥아더의 인천상륙작전은 전쟁의 흐름을 바꾼 일대 사건으로 많은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아왔다. 맥아더가 적을 기만하고 작전계획에 대한 기도비닉을 달성함으로써 완벽한 기습을 달성했다는 점이 이 작전의 주된 성공 요인으로서 지적되었다. 그러나 인천상륙작전에 대해 북한이 사전에 이를 사전에 예측하였는지에 대해서는 북한 자료를 검토하기까지는 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박명림은 처음으로 인천지역에 ...
  • 이, 상호; 박, 성진 (한국학중앙연구원, 2013., 2013-09)
    1950년 6월 북한의 전격적 남침으로 개전된 이래, 낙동강 전선에서 수세에 몰렸던 한국전쟁의 전세는 1950년 9월 15일 인천상륙작전의 성공을 통해 일거에 반전을 이루었다. 인천상륙작전의 성공으로 38선 돌파를 통해 북한으로의 진격이 이루어지면서, 이후 한국전쟁의 전략적 변화는 물론 미·소 간 세계전략의 차원에서도 상당한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그간 인천상륙작전에 대한 학계의 연구는 ...
  • 이, 선미 (한국현대소설학회, 2020., 2020-09)
    냉전의 세계질서가 무력화되었음에도 여전히 남과 북이 군사적인 대치 상황에 놓여있는 한반도에서 한국전쟁을 대표하는 인천상륙작전은 맥아더 신화를 연상시키는 사건이다. 한국전쟁, 인천상륙작전, 맥아더 신화로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상상체계는 상식적인 대중 관념이 되었으며, 역사교육 현장의 중심에 있는 중고등학생들이 인천을 대표하는 인물로서 맥아더를 떠올린다는 여론조사가 나올 정도이다. 2016년 상영된 ...
  • 윤, 원규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2021-08)
    연구 주제: 6.25 전쟁 시 한반도가 공산화 위기에 처했을 시 한국군을 기사회생시킨 작전이 인천상륙작전이다. 지금까지 인천상륙작전의 성과에 치우쳐 상륙작전에 따른 민간인 피해에 대해서는 관심을 소홀히 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인천상륙작전을 중심으로 군사작전에 따른 민간인 피해현황과 재발방지책에 대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 연구 배경: 역사적으로 현대사에서 인천상륙작전의 성과와 의미는 대단하다. ...
  • 이, 은선; 우, 정덕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21., 2021-02)
    이 연구에서는 2013-2016년 사이에 각각 다른 매체를 통해 발표된 네 가지 텍스트를 통해 인천의 장소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텍스트는 웹툰 <인천상륙작전>(2013), 만화 단행본 『인천상륙작전』(2013-2014), 그리고 영화 <인천상륙작전>(이재한, 2016), 소설 『인천상륙작전』(2016)이다. 소설과 영화에서는 인천상륙작전을 대한민국의 시금석이 되는 사건이자 맥아더로 ...
  • 억, 김 (한국 문화사, 2005-02-10)
    <안서김억전집>에 실린『한시역집』을 다시 정리한 책. 전집에서의 오류를 바로잡고, 역시론 자료를 보충하여 김억의 한시역과 역시론을 이해하기 위한 원전자료를 제공한다. 김억이 단행본 및 신문, 잡지 등에 발표한 한시역, 한시시조역, 역시론을 선별해 수록하였다.
  • 남선, 최 (지식을 만드는 지식, 2013-09-26)
    점점 사라져 가는 원본을 재출간하겠다는 기획 의도에 따라 한국문학평론가협회에서 작가 100명을 엄선하고 각각의 작가에 대해 권위를 인정받은 평론가들을 엮은 「지식을만드는지식 시」 시리즈 『최남선 시선』. 엮은이는 직접 작품을 선정하고 원전을 찾아냈으며 해설과 주석을 덧붙였다. 저본에 실린 표기를 그대로 살렸고, 오기가 분명한 경우만 바로잡았으며 띄어쓰기는 읽기 편하게 현대의 표기법에 맞춰 고쳤다.
  • 채호, 신 (경북대학교 출판부, 2018-06-25)
    이 저서는 신채호 문학에 대한 주해의 결정판이다. 주해자는 2011년부터 신채호 문학에 대한 주해를 해온 이래 마침내 결정판을 낼 수 있게 되었다. 이 저서는 그동안 신채호 연구의 성과뿐만 아니라 신채호 자료 발굴의 결과를 축적하여 이룩해낸 결과이다. 그래서 4,600여 개에 이르는 주석은 그의 문학 이해에 좋은 이정표가 될 것이다. 이 저서는 몇 가지 특징을 지닌다. 우선 단재 자료의 ...
  • 이혜준 (방송기자연합회, 2022-05)
    작년부터 여기저기서 들려오기 시작한 ‘메타버스’라는 용어, 많이들 들어보셨을 겁니다. 메타버스란 것의 정체에 대해서는 지금도 의견이 분분하지만, 대선 개표 방송을 준비하던 우리 KBS 선거방송기획 단에서는 그 실체가 모호했던 메타버스를 가볍게 여길 수 없었습니다. 막연하게나마 가상 현실 비슷 한 새로운 플랫폼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던 메타버스를 첨단 기술의 집합체라 불리는 개표 방송에 ...
  • 장진하; 임경란 (한국콘텐츠학회, 2022-04)
    4차 산업혁명의 기술발전과 환경의 변화로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활동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메타버스 플랫폼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특성을 비교하여 혼합현실과 증강현실 등 다양하게 구현되고 있는 인터페이스를 서비스, 공간 이용행태의 분석을 통해 특성을 도출하여 유형화 하였다. 혼합,확장된 공간으로서의 메타버스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공간의 변화 양상을 고찰하고 라이프스타일, 기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