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pace Repository

Browsing 지역 마스코트 논문 by Issue Date

Browsing 지역 마스코트 논문 by Issue Date

Sort by: Order: Results:

  • 이, 승택; 유, 장웅 (한국콘텐츠학회, 2004-05)
    예로부터 빛고을로 인식되었던 광주가 근세에 이르러 의병활동, 광주학생운동, 5ㆍ18민주화운동, 아직도 끝나지 않은 이념전쟁으로만 비추어질 수도 있는 지역의 이미지를 재정립하고, 도시 경쟁력의 증대를 위한 방안으로 CI사업 추진계획을 수립하고 3개년에 걸쳐(1999~200l) CI전략 개발, CI디자인 개발, 문화상품 개발, 도시환경디자인 개발 등을 추진하였다. 최근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
  • 주영, 한 (서산 : 한서대학교 대학원 영상애니메이션학과 , 2012, 2012)
    1995년 지방자치제 시행 이후 자치단체별 다양한 지역 특화사업을 추진하여 지역 간의 차별화와 해당 자치단체의 특성화를 부각시키기 위한 노력이 여러 분야에서 이루어졌다. 이전부터 지역과 지역의 생산물로 연상되는 단순한 연상 구조에서지역과 지역의 브랜드를 연상시키기 위해 지방자치단체는 구체화된 지역이미지와 구호로 지역을 대표하기에 이른다.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정한 CI, BI, 브랜드, 브랜드 ...
  • 이, 승영 (2018-06)
    본 연구는 지자체 캐릭터에 지역의 이야기 자원을 활용한 융합 스토리텔링의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연구의 범위는 서울, 경기 지자체 캐릭터 47개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지역 이야기 자원 스토리텔링 개발 사례는 수원시 수원이 캐릭터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이론적 고찰은 문헌적 자료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현황조사 및 지자체 캐릭터 관련 자료는 인터넷을 ...
  • 박, 소연 (한국디자인크렌드학회, 2019)
    연구배경 지자체 캐릭터는 지역의 이미지를 전달하고 지역에 대한 인지도와 친근감을 높여 지역을 홍보하고 더 나아가 다양한 경제적 수익 창출까지 이어질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고찰과 현황분석, 실증연구를 바탕으로 지자체 캐릭터의 개발방향 및 개선방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각종 문헌 조사를 통해 캐릭터 및 지자체 캐릭터의 기능과 특징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

Search DSpace


Advanced Search

Browse

My Accou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