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pace Repository

Browsing 소록도의 역사 by Title

Browsing 소록도의 역사 by Title

Sort by: Order: Results:

  • KBS광주 (KBS광주, 2019-01-17)
    국립소록도병원 개원 백 주년을 앞두고 한센인에 대한 우리 사회의 차별과 소외의 역사, 한센인의 아픔을 조명한 특집 다큐멘터리입니다.(2009년 제작)
  • 이, 정현; 박, 진아 (국립소록도병원한센병박물관, 2016-05-14)
    소록도 한센인의 아픈 삶을 담아낸 샌드아트 영상이다.
  • 정, 은혜 (대한지리학회, 2016-06)
    :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식민권력이 반영된 경관으로서 소록도와 삼릉 마을을 사례로 그 경관과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보존 가치를 논하였다. 두 곳 모두 일제 강점기에 형성되었는데, 소록도는 한센병 환자로, 삼릉 마을은 미쓰비시 군수공장의 노동자로 강제 동원되어 각종 인권탄압, 노동착취 등이 자행된 곳이다. 현재까지도 질병과 가난이라는 상징성으로 그 의미가 남아 차별적 경관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
  • 김, 재형 (대한의사학회, 2019-08)
    이 연구는 일본을 통해 식민지 조선에 이식된 근대 한센병 관리정책과 이로 인하여 변화한 조선 사회를 한센병 환자들이 어떻게 경험했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한센병 환자들이 겪은 낙인과 차별의 경험을 그 들을 둘러싼 죽음을 중심으로 드러냄으로써 식민지기 소록도를 정점으로 사 회 말단의 가족까지 한센병 환자를 체계적으로 절멸시키는 시스템이 형성되 었음을 밝히고자 한다. 선행연구는 ...
  • 문화유산채널 (문화유산채널, 2021-08-21)
  • 윤, 경민 (서울신문, 2019-03-07)
    # 세 번 죽어야만 되는 한센병 환자의 삶. 소록도에는 단종(斷種)과 불임 시술의 현장이 그대로 “그건 이곳 규칙입니다. 환자가 건강인을 대할 때는 반드시 다섯 걸음 이상 거리를 유지해라. 말을 할 땐 45도 얼굴을 옆으로 돌리고 손으로 입을 가려야 한다. "<이청준, 당신들의 천국 p32, 1976, 문학과 지성사>
  • 서, 기재 (동아시아일본학회, 2022-04)
    이 연구는 일제강점기 발행된 잡지와 신문기사를 중심으로 한센정책의 실체와 그 내용을 살펴본다. 근대의학의 후발주자였던 일제는 조선 내 한센사업 과정에서 서양 선교사들을 의식하고 있었고, 여기에서 조선인의 감정을 다루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파악했으며, 이는 한센사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활용되기도 했다. 또한 조선 사회 내에서도 한센인은 사회적 문제로 여겼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중의 참여가 ...
  • 정, 근식; 김, 영숙 (역사문화학회, 2016-11)
    조선총독부는 1916년부터 1933년까지 세 차례에 걸쳐 소록도의 토지를 수용하여 나요 양소를 건설하고 확장하였다. 지금까지 이 과정은 소록도갱생원측의 자료와 일부 언론보도에 입각하여 기술되어 왔다. 이 글은 이 과정을 소록도 󰡔토지대장󰡕과 󰡔임야대장󰡕의 분석을 통하여 검증하려는 것이다. 첫째, 소록도자혜의원 설립을 위한 제1차 토지수용은 소록도 서쪽지역의 마을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는데, ...
  • 김, 은비 (이데일리, 2021-06-03)
    "한센병 환자들 목소리 직접적으로 보여줘" '서윤복 보스턴 마라톤 대회 우승메달' 지정 예고 문화재청은 ‘고흥 소록도 4·6 사건 진정서 및 성명서’‘고흥 소록도 녹산의학강습소 유물’‘서울 진관사 소장 괘불도 및 괘불함’등 3건을 문화재로 3일 등록했다.
  • Unknown author (여수MBCPrime, 2015-10-04)
    소록도 한센인들의 은인인 마리안느와 마가렛 수녀님에 대한 미니 다큐멘터리
  • 명, 숙 (오늘의 문예비평, 2018-12)
    인권활동가인 저자(명정)가 소록도 인권기행을 통해서 알게 된 소록도의 참혹한 역사와 현재까지도 이어지는 한센인들에 대한 차별과 폭력에 대해 쓴 저널이다. 구라탑 망령당, 오마도기념공원 등 소록도 역사와 관련된 장소와 소록도 주민들과의 만남에 대해 기술하였다.
  • 김, 경윤 (연합뉴스, 2013-07-18)
    한센병에 걸렸다는 이유만으로 인권의 사각지대에서 폭행·학살·차별에 시달린 한센인의 피해사건이 3년간의 조사 끝에 밝혀졌다.
  • 강, 미애; 김, 영경 (질적연구학회, 2019-05-13)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국립소록도병원에서 한국 한센병을 기술한 간호사를 규명하는 것이다. 간호사의 업무, 역할, 활동이나 한센병 근절 활동은 전·현직 간호사가 제공한 구술기록 등을 토대로 조사했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2015년 12월부터 2016년 6월까지 수집한 역사자료와 구술자료를 활용한 역사연구방법을 채택했다. 참석자는 1967년부터 2000년까지 국립소록도병원에서 근무한 간호사 ...

Search DSpace


Advanced Search

Browse

My Accou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