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contributor.author |
박, 소연 |
|
dc.date.accessioned |
2022-06-06T11:45:47Z |
|
dc.date.available |
2022-06-06T11:45:47Z |
|
dc.date.issued |
2019 |
|
dc.identifier.uri |
http://117.16.248.84:8080/xmlui/handle/123456789/420 |
|
dc.description.abstract |
연구배경 지자체 캐릭터는 지역의 이미지를 전달하고 지역에 대한 인지도와 친근감을 높여 지역을 홍보하고 더 나아가 다양한 경제적 수익 창출까지 이어질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고찰과 현황분석, 실증연구를 바탕으로 지자체 캐릭터의 개발방향 및 개선방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각종 문헌 조사를 통해 캐릭터 및 지자체 캐릭터의 기능과 특징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현재 지자체 캐릭터의 현황에 대해 분석한다. 또한, 설문조사를 통해 지자체 캐릭터에 대한 대중들의 인식과 독창성, 친밀성, 상징성 등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연구결과 지자체 캐릭터에 대한 실증조사 결과 캐릭터 표현방식과 표정이 친밀성과 독창성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 지자체 캐릭터의 상징성에 대해서는 울산이 가장 높았고 경기도가 가장 낮았다. 지자체 캐릭터를 개발 시 지역의 이미지 전달과 지역의 홍보에 중점을 두어야한다는 의견의 비중이 높았다. 결론 지자체 캐릭터의 대표적 구성요건인 친밀성과 독창성 제고를 위해서는 캐릭터 디자인 개발단계에서부터 표현방식에 가장 중점을 두어야 하고, 캐릭터의 표정과 포즈에 대해서도 세심한 고려가 필요하다. 상징성 측면에서도 해당지자체의 특성을 대중들의 관점에서 대표적으로 상징할 수 있는 캐릭터 이미지 선정이 중요하다. 또한 지자체 캐릭터 제작 시 지역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 전달에 가장 중점을 두고 지역의 홍보와 지역경제 측면의 활용성에 대해 중요하게 고려하여야 한다. |
en_US |
dc.language.iso |
en |
en_US |
dc.publisher |
한국디자인크렌드학회 |
en_US |
dc.relation.ispartofseries |
한국디자인포럼;제24권 제2호 |
|
dc.subject |
지방자치단체 캐릭터 |
en_US |
dc.subject |
캐릭터 연구 |
en_US |
dc.title |
지방자치단체 캐릭터 디자인 연구- 독창성, 친밀성, 상징성을 중심으로 - |
en_US |
dc.title.alternative |
Character design of local government - Focused on originality, affinity and symbolism - |
en_US |
dc.type |
Article |
en_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