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description |
춘원 이광수는 한국 근현대문학사에서 큰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나 일부 작품 구성상의 문제, 역사의식 실종 및 개인적 윤리와 사회적 윤리의 혼동, 친일적인 문필활동 등이 논란이 되곤 한다. 그렇지만 그가 쓴 ≪무정≫의 문학적 의의만큼은 부정하기 힘들다.
≪무정≫은 6월 28일부터 7월 말까지의 약 한 달 간이 배경이다. 이전 소설들이 대개 주인공의 일대기를 배경으로 했던 것과 달리 ≪무정≫은 한 달가량의 시간만을 다루고, 사회와 개인의 관계를 개인의 운명을 통해 보여 준다는 점에서 근대 소설적 면모를 지니고 있다.
이 작품은 이형식, 박영채, 김선형이라는 세 인물을 중심으로 한 사랑 문제와 자아 각성 문제를 중요시하고 있다. 이광수에게 있어서 ‘사랑’은 단순히 서사적 모티브라기보다 그 자체로서 계몽을 위한 하나의 수단이었다. 이광수가 끊임없이 주창하고 있는 ‘자유연애’는 그가 생각하는 사랑의 본질이자 근대성의 핵심이었고, 이를 통해 그는 자신의 계몽 의지를 표출하고 있다.
이광수가 ≪무정≫을 통해 ‘자유연애’ 사상만큼이나 중요하게 다루었던 것은 자아 각성이다. 그가 이 작품에서 ‘자유연애’를 강조함으로써 등장인물들을 구시대의 윤리적·관습적 속박으로부터 해방시키려 했다면, 이 ‘사랑’만큼이나 중요한 것은 자아 찾기 혹은 자기 발견이다. ≪무정≫은 이형식과 박영채라는 두 인물의 개인적 삶을 통해 이들이 각자 자신의 자아를 찾아가는 자기 발견의 과정을 보여 준다.
한편 ≪무정≫은 이형식, 김선형, 김병욱 같은 인텔리적인 인물들을 등장시킴으로써 당시 민중의식을 정확히 포착하지 못하고, 관념적이고 이상주의적으로 계몽사상을 주창함으로써 대중과 동떨어졌다는 결함도 지니고 있다.
흔히 이광수는 장편 작가로 평가된다. 그러다 보니 그의 단편은 장편에 비해 주목을 덜 받는다. 장편의 수준이 더 높았기에 그런 것이다. 그러나 그의 단편은 당시로서는 선구적이었으며, 참신한 문장이었다. 단편이 많지 않았던 때에 그 정도의 수준을 이뤘다는 점만으로도 대단한 공적이 아닐 수 없다.
≪소년의 비애≫는 ≪무정≫과 같은 해에 나온 작품으로, ≪무정≫에 나타난 구시대적 사랑 및 결혼 문제를 보다 구체적으로 다루고 있다. 이 작품은 종매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았던 문호가 아끼고 사랑하던 난수의 결혼 문제에 접근하는 이야기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문호는 종매들과 문학에 대한 이야기 나누는 것을 좋아했는데, 그중에서 난수가 제일 뛰어났고 문호는 그런 난수를 귀애하였다. 난수 나이 십육 세가 되자 집안에서는 그녀를 어느 부호의 자제와 약혼시킨다. 문호는 이를 막아 보려 했지만 결국 난수는 천치 신랑에게 가 버림으로써 문호가 크게 낙담한다는 내용이다.
이 작품은 ≪무정≫과 달리 국한문 혼용체이며, 소설적 구성이나 문장이 미숙할 뿐 아니라 주제도 선명하지 못하다. 하지만 조혼의 악습을 문제 삼음으로써 당시 혼인 제도를 비판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작가의 계몽주의 정신이 짙게 배어난다. 뿐만 아니라 ≪무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신교육의 필요성 역시 이 작품에서도 강하게 드러나고 있다. |
en_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