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pace Repository

코로나19 팬데믹과 복지국가: 북유럽 복지국가는 왜 지원에 인색했을까?

Show simple item record

dc.contributor.author 윤, 홍식
dc.date.accessioned 2022-06-02T10:03:13Z
dc.date.available 2022-06-02T10:03:13Z
dc.date.issued 2021-06
dc.identifier.issn 1598-8996(Print)
dc.identifier.uri http://117.16.248.84:8080/xmlui/handle/123456789/227
dc.description.abstract 이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국가의 성격 변화 중 복지국가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했다. 구체적으로 코로나19 팬데믹에 대한 복지국가의 대응이 복지체제의 유형에 따라 왜 상이하게 나타났는지를 검토했다. 모범적인 복지국가로 알려진 북유럽 복지국가들은 왜 코로나19 대응에 소극적이었고 잔여적 복지국가로 알려진 미국, 호주 등은 왜 적극적으로 대응했는지에 대한 답을 찾는 것이다. 사회지출, 노동시장, 국가채무 등의 측면에서 분석했을 때 코로나19 팬데믹에 가장 효과적으로 대응했던 복지체제는 북유럽 복지체제였다. 상대적으로 높은 공공부문의 고용비율과 낮은 자영업자 비율로 대표되는 안정적 노동시장 구조, 높은 사회지출과 현물 지출로 대표되는 보편적 복지체제, 낮은 국가부채로 나타나는 국가의 재정역량 등은 팬데믹에 직면해 북유럽 복지체제가 대규모 재정지출 없이 시민의 삶을 지켜낼 수 있었던 기제였다. 이러한 경험적 결과에 기초해 우리가 국가의 변화를 이야기한다면, 복지국가로서 북유럽 복지체제의 유용성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국가의 귀환을 촉진하는 글로벌라이제이션의 약화와 경제정책기조의 변화(인플레이션과 긴축에서 고용과 소득으로)는 국가의 역할을 확대하는 중요한 외적 조건이 될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예상은 단기적으로만 유효하다. 복지국가의 변화가 여기서 그칠 것 같지는 않기 때문이다. en_US
dc.language.iso other en_US
dc.publisher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en_US
dc.relation.ispartofseries 사회과학연구;사회과학연구 제28권 제2호
dc.subject 복지국가 en_US
dc.subject 코로나-19 en_US
dc.subject 북유럽 en_US
dc.subject 스칸다나비아 en_US
dc.subject 복지체제 en_US
dc.title 코로나19 팬데믹과 복지국가: 북유럽 복지국가는 왜 지원에 인색했을까? en_US
dc.title.alternative COVID-19 Pandemic and Welfare State: Why was the Nordic welfare state stingy in support? en_US
dc.type Article en_US


Files in this item

This item appears in the following Collection(s)

Show simple item record

Search DSpace


Advanced Search

Browse

My Account